공상록

가계부채 세계 1위, 이제 빚 못갚아요 - 방미 TV

참그놈 2023. 6. 4. 19:59

방미 라는 분을 아신다면 연식이 좀 될 거라고 생각하는데, 80년대에 가수로 활동했나 그렇습니다. 어느 날부터 TV에서 보이지 않던데 전업투자자가 되었나 봅니다. 오늘 본 영상에서 대한민국이 가계부채 세계 1위 라는 것 외에도 기업부채나 기타 여러 가지 사항을 모아서 보여주는 내용이 있네요.

 

영상 표지에도 적혀 있네요. 이제 빚 못갚는다고...

 

 

https://www.youtube.com/watch?v=e5dRZk672dE&list=TLPQMDQwNjIwMjPDlo5vYqE_8w&index=28 

 

 

우리나라 집값이 서민들 소득을 기준으로 하면 보통 비싼 것이 아니라서 집을 마련하려면 소득으로 감당하기 빠듯하거나 힘든 대출을 받아야 마련할 수 있는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부동산 경기가 활황이라면 집값이 소득과 초월적인 차이가 있더라도 사고 파는 과정에서 돈을 버는 사람도 있었겠지만, 미국이 긴축으로 전환하면서 산통 깨져버린 상황입니다. 한 마디로 유동성 잔치는 끝났다는 뜻입니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집값 오른다며 집 사는 사람들은 영상보시면 "미쳤다"고까지 합니다.

 

미국 기준금리 이야기도 하는데, 미국 기준금리 인하 못한다고 설명합니다. 물가가 잡히지 않았으니까요. 어느 나라든 중앙은행은 물가를 잡아야 하는 사명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가를 잡지 못하면 경제 안정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기준금리는 6월에도 오르고 그 이후에도 추가로 더 오를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상황에 달린 것이라서 예측이 어렵긴 하지만요.

 

요즘 미국에서 상업용 부동산 이야기 하며 미국 은행들 위기라는 말을 하기도 하는데, 1개월 단기 채권 금리가 5%를 넘는답니다. 미국 은행들 부지런히 1개월 미국 단기 국채에 투자하고 있는지도 모르지요. 미국 정부 역시도 장기채 발행보다는 단기채 발행을 늘려서는 은행들만 사라고 할 수도 있고요. 2008년에 겪어봐서 미국은 은행이 자빠지면 초토화 된다는 것을 알거든요. (미국 경제 모릅니다. 그냥 뇌피셜입니다. 그러고 있지 않을까? 하는...)

 

우리나라는 김진태 사태와 흥국생명 사태로 채권시장이 희안해져버렸지요? 큰돈들은 채권시장에서 논다던데 한 순간에 썰렁해졌다면서 뉴스 나고 그랬거든요. 회복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방미TV의 회원이 아니라서 전체 내용은 모르겠지만, 링크한 영상만 보셔도 현재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것을 아실 수 있으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