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총균쇠, 노트 1 : 미국백인들의 흑인 지능 연구

참그놈 2022. 4. 23. 14:45

몸이 좀 나은 것 같아서 몇 년 전에 구입한 총균쇠를 읽어보려 하고 있습니다. 몇 달간 도침치료를 받았는데 몸에 나타나는 반응이 격하여 조금 힘들었거든요.

 

제가 구입한 총균쇠는 개정증보 2판 106쇄판입니다. 2018년...

 

 

총균쇠 26쪽에 미국 백인 심리학자들이 아프리카에서 건너 온 흑인들이 유럽에서 건너 온 백인들에 비하여 선천적으로 지능이 낮음을 입증하려고 수 십년 동안이나 노력했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 내용을 보고 엉?@@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선천적으로...

 

라니, 이는 백인 우월주의에 기반한 연구일까요?

 

저는 해당 연구가 어떤 연구이고 누가 주도했는지 전혀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연구 결과는 짐작이 됩니다. 아프리카에서 건너 온 흑인들이나 유럽에서 이주한 백인들이나 그 지능은 갖거나 아프리카 흑인들의 지능이 좀 더 높게 나왔을 것으로요. 흑인들의 지능이 더 높다고 평가하는 것이 이상한가요? 물론 그에 대해서도 그 흑인이 아프리카 어디에서 살았는지에 따라 다르긴 할 것입니다. 원주민을 데려왔느냐 아프리카 도시에서 건너 온 사람이냐에 따라 또 다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수렵 채집을 하는 아프리카 원주민과 유럽에서 건너 온 미국인의 지능을 비교했다고 하면 비교 대상인 둘을 지능이 같거나 아프리카 원주민의 지능이 좀 더 좋게 나왔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돌발변수가 더욱 많으니까요.

 

지능 검사는 뭔가를 단순화해서 시험을 보는 것으로 압니다. IQ 테스트 하는데 3차 방정식 나오고 행렬이나 통계 뭐 그런 거 가지고 테스트 하지 않잖아요. 수렵과 채집을 하는 아프리카 원주민이라면 맹수를 걱정해야 하고 먹을 수 있는 풀과 먹으면 죽는 풀 등을 구별해야 합니다. 맹수의 공격과 타 족속의 습격 등에도 대비를 해야 하지요. 돌발변수도 많아서 뇌가 항상은 아니겠지만 활성화 되는 비율이 더 높다고 보는 것이지요. 유럽에서 건너왔던 아니든 도시에서 반복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도시 생활을 보면 따분하기도 하고 뭐 그러지요? 그래서 스포츠 중계를 보면서 환호하기도 하고 야동을 보고 므흣해 하기도 하고 책을 읽으며 감동하기도 하고 홈트를 하기도 하는데, 그냥 덩그러니 자빠져서 게으름 피우는 경우도 태반이잖아요. 몸을 움직이는 비율도 적은 겁니다. 움직이지 않는데 지능이 발달하나요?

 

움직이고 다니면서 근육 사용률도 늘고 혈액순활도 상승하고 보고 듣고 느끼고 비교하고 대조하고 판단하고...  수렵이나 채집을 해야 한다면 항상 움직여야 하거든요. 마트에 가면 완제품이 진열되어 있는 것이 아니잖아요. 혹시 선천적인... 이라는 말이 그런 환경 변화에 적응하거나 하는 그 이전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라면... 글쎄요 ㅡ,.ㅡ  그런 것도 측정이 가능한가요?



주자가 쓴 대학장구 서문에 하늘이 인간을 내실 때 누구나 할 것 없이 인의예지를 부여하였다는 말이 있습니다. 기질에 따라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누구나 평등하다 라는 말씀이지요. 서구인들이 대도시를 이룬 현재의 모습을 기반하여 우월감을 느끼려 그런 연구를 한 것이라면, 오히려 그들 선조들이 살아 온 환경이 더욱 척박했다는 말입니다. 아닌가요? 환경이 척박했으므로 대규모 도시를 형성하여 무리를 이루어야 버틸 수 있었다는 말일 것이잖아요.



몇 년 전에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대충 읽어 본 적도 있는데 자세한 기억은 아니지만 비슷한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압니다. 사피엔스는 낯선 사람들과도 협력이 가능하다는... 자동차나 보일러 같은 현대 기술 이전에 유럽의 습하고 추은 날씨에 늑대와 같은 맹수들이 적지 않은 곳에서 무리짓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반대로 사피엔스들이 무리를 이루자 오히려 그 반대로 맹수들이 멸종되는 상황이 되기는 했지만...

 

 

다음 단락에 제가 쓴 블로그 내용과 비슷한 내용이 나오네요. ㅋ

에궁...

이미 쓴 거 그냥 둘랍니다.

 

 

추가 1

P. 214

민족생태학이라는 학문을 소개하고 있는데 어떤 지역의 원주민들이 1000여종이 넘는 동식물의 이름을 자기 지역 언어로 알고 있었고 그 쓰임새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가축화 작물화 된 동식물에 의존하게 될수록 그런 전통적 지식은 점차 사라져 슈퍼마켓에서 장을 보게 되는 단계에 이르면 야생 볏과 식물과 야생 콩과 식물조차 구별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