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원문 333

천자문을 지은이(저자)는 누구일까?

보통 천자문을 검색하면 주흥사 천자문이 검색됩니다. 중국 남조의 양나라 무제 때 주흥사(周興嗣)가 지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천자문은 4자 250구로 되어 있는데 그것 모두를 주흥사라는 사람이 모두 지었을까요? 공식적으로 주흥사가 지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주흥사가 지은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종요가 지었다고 주장하기도 하니까요. 그러나, 정확하게 말한다면 천자문은 작자가 미상이라고 합니다. 명문당 출판사에서 나온 설문에 의한 신역 천자문을 보면 진(晉) 무제 때, 종요가 천자문을 지어 진무제에게 바쳤다고 되어 있지만, 종요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사람이고 기록에 따르면 230년에 죽었다고 합니다. 위나라를 이어 진나라가 성립하는데 이미 죽은 사람이 무슨 수로 천자문을 바치겠습니까...

천자문은 중국(China)의 역사일까?

천자문(千字文)은 옛날에 아이들이 한문(漢文)을 처음으로 배우던 학습교재였습니다. 해석을 보면 천자문 일부에서 중국의 유명한 장군들이나 학자 등이 등장합니다. 해설을 그렇게 하니까 처음에는 그런가보다 했었지요. 또, 길을 빌려 괵나라를 멸한 고사 등도 인용을 하고 있습니다. 또 고대 중국에서 지어진 것이므로 중국의 역사를 기초로 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중국의 고사와 인물 몇 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지만 천자문을 반드시 중국의 역사라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천자문 해설서를 처음 읽은 것이 1993년입니다. 그 이전에도 한석봉 천자문 같은 책이 집에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만, 한석봉 천자문은 한자를 크게 적고 뜻과 풀이만 적혀 있어서였는지 몇 번 뒤적인 기억은 있지만 ..

삼국연의를 읽고...

어제 날짜로 삼국연의 한문본을 어쨌거나 다 읽었습니다. 한 번에 불과하지만... 대략 5개월 정도가 걸렸네요. 제가 읽은 것은 박기봉 역 삼국연의이며 한문본을 읽었습니다. 실제로는 인터넷에서 구한 삼국연의 원문을 구해서 세 가지를 대충 비교해 가면서 읽었습니다. 주로 폰트를 키워 모니터 상에서 보았습니다. 시력도 딸리고 척추측만이 있어서 고개를 오래 숙이고 있지 못합니다. 인터넷으로 구한 삼국연의 원문은 박기봉 역본보다 협평도 서시평도 더 많았기 때문에 원문 모두를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특히 박기봉님 역본에 없는 협평이나 서시평 중에서는 해석이 되는 것도 있고 해석은 안되지만 짐작은 되는 것도 있고 아예 이해도 짐작도 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삼국연의에 쓰인 한자는 3000자 정도. 박..

동명왕편 원문

동명왕편이 갑자기 떠올라 검색을 했고 인터넷상에 올라와 있는 글을 옮겼습니다. 그런데 서문은 읽으면서 이해가 되는데 본문은 모르는 글자 투성이네요. ㅡ,.ㅡ 인터넷에 게재되어 있는 내용 중에 글자 3자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검색을 해서 채워넣기는 했는데 정확한 글자인지는 모릅니다. 이 포스트에 있는 빨간 글자가 인터넷 상에서 찾을 수 있는 동명왕편의 누락된 글자입니다. 리브레 오피스(Libre Office) 파일입니다. 한글(HWP) 파일 아닙니다. 파일 내에, 제가 퍼담은 블로그 주소가 있습니다. 東明王篇 東國李相國集 東明王篇 高句麗本紀 東明王篇 幷序 世多說東明王神異之事, 雖愚夫騃婦, 亦頗能說其事. 僕嘗聞之, 笑曰: 先師仲尼不語怪力亂神, 此實荒唐寄詭之事, 非吾曹所說. 及讀魏書ㆍ通典, 亦載其事, ..

한문원문 2020.11.02

삼국연의 원문 3회 - 모종강 협평, 서시평 포함

모종강의 협평이 있는 삼국연의 원문 3회입니다. 공개를 목적으로 편집을 한 것이 아니라 제가 눈이 나빠 폰트를 크게 해서 보는 용도로 하다보니 문서가 되었습니다. 리브레 오피스(LibreOffice) 파일입니다. 한글(HWP)에서도 열리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박기봉 역본에 없는 협평이나 서시평이 있는데, 저 역시 한문에 익숙하지 않으므로 어떤 것은 대충 짐작할 뿐입니다.

삼국연의 원문 2회 - 모종강 협평, 서시평 포함.

모종강의 협평이 있는 삼국연의 원문 2회입니다. 공개를 목적으로 편집을 한 것이 아니라 제가 눈이 나빠 폰트를 크게 해서 보는 용도로 하다보니 문서가 되었습니다. 리브레 오피스(LibreOffice) 파일입니다. 한글(HWP)에서도 열리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혹시 한글을 쓰고 있어서 이 파일이 한글(HWP)에서도 문제 없이 볼 수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박기봉 역본에 없는 협평이나 서시평이 있는데, 저 역시 한문에 익숙하지 않으므로 어떤 것은 대충 짐작할 뿐입니다.

삼국연의 원문 1회 - 모종강 협평, 서시평 포함

모종강의 협평이 있는 삼국연의 원문 1회입니다. 인터넷에서 구했는데, 박기봉 역 삼국연의와 글자가 다른 것도 있고 잘못된 글자가 보이기도 하고 그러네요. 나름 수정도 하고 주석도 붙여가면서 편집했습니다. 협평도 인터넷에서 구한 것이 박기봉 역 삼국연의보다 더 많습니다. 마지막에 모종강 서시평도 박기봉 역 삼국연의와 차이가 있습니다. 편집을 하면서 인터넷에서 구한 파일에 있는 협평을 지우지는 않았습니다. 반면, 박기봉 역 삼국연의에 있는 협평은 추가하기도 했습니다. 공개를 목적으로 편집을 한 것이 아니라 제가 눈이 나빠 폰트를 크게 해서 보는 용도로 하다보니 문서가 되었습니다. 리브레 오피스(LibreOffice) 파일입니다. 한글(HWP)에서도 열리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혹시 한글을 쓰고 있어서 이 파일..

천자문은 999자일까?

천자문에 관해 설명하는 어떤 내용 중에 "천자문은 1000자가 아니라 999자이다" 라는 주장을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 근거로 九州禹跡 百群秦幷(구주우적 백군진병)과 釋紛利俗 竝皆佳妙(석분이속 병개가묘)를 듭니다. 幷과 竝이 글자의 생긴 모양이 조금 다르지만 같은 글자라는 주장입니다. 저는 한자학에 대해서는 모릅니다. 그러나 옥편이나 자전을 찾아서 비교해 보면 두 글자의 모양과 뜻이 비슷하기는 하지만 사용된 용례를 살펴보면 그 뜻이 서로 다릅니다. 글자 모양이 비슷하지만 부수도 다릅니다. 누군가 같은 글자라고 주장하지만 저는 다른 글자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幷의 부수는 干(방패 간)이고 竝의 부수는 立(설 립)입니다. 영어 단어에 All과 Every가 있습니다. 둘 다 "모두"라는 뜻입니다. 두 단어..

063. 戶封八縣 家給千兵(호봉팔현 가급천병) 063.

천자문 카테고리에 천자문을 순서대로 적으려고 하다가 그냥 생각나는 대로 적기로 했습니다. 예전에 천자문이라도 외워보겠답시고 수 백번을 쓰고 외웠던 기억이 있는데, 무슨 일인지 외워지지 않았습니다. 천자문을 순서대로 포스팅하려면 천자문을 다시 공부해야 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조금 난감함을 느낍니다. 戶封八縣 家給千兵은 천자문의 63번째에 위치하는 구입니다. 앞에서도 63번째 뒤에서도 63번째. 저는 이 구절이 천자문의 가장 핵심적인 구절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까닭은 누구던지 계속해서 태어나야 하기 때문입니다. 생각해 보세요. 고대, 적어도 역사 이전인 선사시대에는 산짐승도 지금보다 훨씬 많았고 뱀같은 파충류도 훨씬 많았을 겁니다. 의술 역시 미약해서 병이 나면 살아나는 사람들보다..